파란만장했던 美 대선
전대미문의 전·현직 대통령 간 대결로 예상됐던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전직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와 당시 부통령이었던 카멀라 해리스의 양자구도로 귀결됐다. 고령 논란에 휩싸인 바이든 대통령의 중도 사퇴, 그 자리를 이어 등장한 첫 흑인 여성 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그리고 연방 대법원의 판결로 출마 자격은 얻었지만 선거 직전과 당선 직후에도 유죄 판결문을 받아들여야 했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까지, 극적인 전개는 선거 내내 이어졌다. 정치적 격변 속에서 유권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올바른 여론 형성을 유도할 언론의 책임은 더 무거웠지만, 실시간 팩트체크 논란과 특정 후보에 대한 언론의 전통적 지지 및 철회, 여론조사 결과와 실제 득표와의 괴리, 진영 논리에 따른 언론의 의견 제시와 소비 양상 등은 언론의 신뢰성과 중립성에 대한 의문을 더 키웠다. 2024년 미국 대선에서 언론은 어떤 방식으로 공정성을 유지하려 했고, 그 과정에서 어떤 한계와 편향성이 드러났는지, 그리고 민주주의를 위협하지 않기 위해 언론은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그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美 언론의 대선 보도
1-1. 후보 검증
2024년 대선에선 후보 개인에 대한 의혹 제기나 도덕성 검증 요구 여론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Pew Research Center, 2025)1). 바이든과 트럼프 모두 이미 한 차례 대선을 치렀고, 해리스 역시 공직자 출신의 현직 부통령이라는 점에서 언론과 유권자 다수가 이미 제기될 만한 문제들은 나왔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Federal Election Commission, 2024)2). 대신 언론의 정치 성향에 따라 후보의 성향이나 경력 평가를 상반되게 내놓으면서 후보 검증 방향이 확연하게 엇갈리는 양상을 보였다.
일단 바이든이 사퇴하고 해리스가 민주당 새 후보로 등장하는 과정에서는 언론의 후보 검증 논조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첫 번째 토론회, 바이든과 트럼프 사이의 토론회에서 바이든은 “We’re going to revive America, and uh… uh… that’s… we start again.”이라며 발언 도중 문장을 잇지 못하거나 외교 정책을 언급할 때는 러시아를 ‘ally(우방)’이라고 표현했다가 정정하기도 하면서 고령으로서 대통령직을 수행하기 부적절하다는 여론이 형성됐다(CNN, 2024)3). 언론은 방송 토론회를 통해 바이든의 고령 논란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었고, 이는 대부분의 주요 언론 보도와 사설을 통해 반복적으로 지적됐다(Politico, 2024)4). 그 결과 바이든은 토론회 직후 지지율 하락을 겪어야 했고, 결국 후보직을 사퇴했다. 언론이 후보의 자질을 검증하고 국민적 우려를 확산시키는데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하지만, 바이든이 사퇴한 이후 해리스와 트럼프 사이의 대결이 시작되자 언론의 검증 방향은 확연하게 엇갈렸다. CNN, NPR 등 진보 매체는 해리스의 의료 정책 구상, 부통령 시절 추진한 형사 사법 개혁, 젠더·인종적 대표성에 초점을 맞춰 긍정적인 이미지를 강조한 반면(CNN, 2024)5), Fox News 등 보수 매체는 해리스가 급진 좌파 정책에 가까운 공약을 내세우며 오히려 중도 유권자의 이탈을 초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Fox News, 2024)6). 특히 Fox는 해리스가 대학 무상교육과 보편적 건강보험 등 진보 진영의 핵심 공약을 수용한 점을 들어 “비현실적 공약”이라고 비판했고, New York Post는 해리스가 연설 중 사용한 “사회적 정의”라는 표현을 문제 삼아, 그녀가 좌파 정체성 정치에 기대고 있다는 프레임을 반복하기도 했다(New York Post, 2024)7).
트럼프에 대해서는 반대였다. New York Times가 트럼프의 법적 문제와 도덕적 결격 사유를 조목조목 지적하며 후보 자격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등 진보 매체들은 트럼프의 유죄 판결과 의회 난입 사태와의 연관성, 반민주적 발언 등을 집중적으로 조명한 반면(New York Times, 2024)8), 보수 언론은 진보 언론의 보도 자체를 정치적 탄압으로 규정하고, 법원의 판단까지도 선거 개입의 일환으로 해석했다. 예컨대 Breitbart는 ‘정치 검찰의 법리 남용’이라는 제목의 기획기사를 통해 트럼프에 대한 기소가 정당성을 결여했다고 주장했고(Breitbart, 2024)9), Daily Caller는 기소 일정이 경합주의 유세 시기와 겹친 점을 들어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문을 제기했다(Daily Caller, 2024)10). 이처럼 언론은 성향에 따라 후보 검증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였고, 후보 검증이 정보 전달보다는 프레임 전쟁의 양상으로 전개되는 한계를 드러냈다.
1-2. 팩트체크
팩트체크 역시 매체별로 주안점이 달랐다. 해리스와 트럼프, 두 후보 간 대진표가 확정된 이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열린 ABC 주최 토론회에서 이뤄진 실시간 팩트체크가 대표적이다(ABC News. 2024)11). 트럼프가 “해리스는 부통령 재임 중 범죄율을 두 배로 증가시켰다”고 주장하자, ABC는 즉시 FBI 및 도시 치안 보고서를 인용해 해당 발언이 과장되었다고 보도했고, 팩트체크 전문 팀은 이를 “대체로 거짓”으로 분류했다(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24)12). 반면 해리스의 교육예산 수치는 “일부 과장” 으로 분류됐다(U.S. Department of Education., 2024)13). 방송 직후 해당 클립과 검증 결과는 각 언론의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에 즉시 업로드 되었다.

하지만 보수 진영에서는 팩트체크가 트럼프에게만 엄격하게 적용되었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나섰다. Fox News는 해당 토론이 “민주당 중심 언론에 의해 설계된 편향된 무대”라고 평하며, 모더레이터의 질문 구성조차 공정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Fox News, 2024)14). 또한, 일부 트럼프 지지자들은 팩트체크 자체가 언론의 정치적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며, 자체 제작한 “시민 팩트체크 플랫폼”을 통해 반박 콘텐츠를 유포하기도 했다15)(Missouri Independent, 2024). 대표적인 예가 미주리 주에서 조직된 TruthWatch라는 단체로, 이들은 ABC 토론 당일 발표된 주요 팩트체크 결과 20건을 재검증하여 8건에 대해 “선별적 인용” 또는 “통계 왜곡”이라고 반박 성명을 냈다(TruthWatch, 2024)16). 이에 Poynter Institute가 자원봉사 팩트체크를 통해 ABC 방송의 팩트체크 결과를 전면 재검증하면서 논란은 더 확산됐다(Poynter Institute, 2024)17).
팩트체크 자체는 언론에서 널리 쓰이고 있는 공정성 확보 시도지만, 미국에서 역시 적용 방식과 해석, 실시간 팩트체크의 존재 자체를 두고 논란이 계속되는 셈이다. 학계에서는 실시간 팩트체크가 시청자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고 분석하기도 했지만(Clayton, K., Davis, N., & Nyhan, B., 2024)18), 기존 진영 감정을 자극하고, 선거 토론을 정보 전달이 아닌 게임처럼 보이게 하는 부정적인 영향이 있다는 경고를 내놓기도 했다(Shorenstein Center, 2024)19).
1-3. 여론조사
2024년 미 대선에서 FiveThirtyEight, CNN, NYT, NBC 등 주요 언론과 여론조사 기관은 해리스 후보의 신승 또는 박빙 승리를 대체로 전망했으나 (FiveThirtyEight, 2024)20) 실제 개표 결과는 트럼프의 압승이었다. 개표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같은 예측 조사 결과가 반복 보도됐지만, 최종적으로 상반된 결과가 나오면서 대선 이후 적지 않은 파장이 불거졌다.

대선 직후 언론과 여론조사 기관에 대한 신뢰도는 급격히 하락했고, 미국 내외에서 언론이 현실 민심을 과소평가하거나 특정 기대를 반영한 분석에 기대고 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Pew Research Center에 따르면, 선거 이후 언론의 신뢰도는 역대 최저 수준인 26%까지 하락했으며, 공정하지 않은 보도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응답자 비율은 57%에 달했다(Pew Research Center, 2024)21). 빙산의 일각이긴 하지만, 실제로 필자가 캘리포니아의 한 사전투표소 앞에서 유권자 1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현장 인터뷰에서 언론의 선거 보도가 공정하냐는 질문에는 10명 모두가 그렇지 않다고 답한 것도 언론에 대한 불신을 반영하는 일부분이기도 하다.


언론의 공정성
논란을 불러일으키긴 했어도 ABC방송 토론회 실시간 팩트체크를 비롯해 2024년 미 대선에서 언론들은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기울였다. CBS는 팩트체크 전담팀을 본사 보도국에서 독립시켜, 후보 발언의 사실 여부를 별도로 검증했다(CBS NEWS, 2024)22). 이들은 모든 토론회와 유세 발언을 정량 분석해 허위 가능성이 높은 문장을 자동 포착하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USA Today는 지면 상에서 양당 후보에게 동일한 보도 면적을 배정하고, 긍정이나 부정 기사 수 비율도 공개하는 투명성 기준을 발표하기도 했다(USA Today, 2024)23). PBS, NPR 등 공영 언론은 대선 보도 지침을 사전 공개하고, 모든 인터뷰 및 후보 기사에 동일한 질문지를 제공하는 등 절차적 공정성을 강화하려 했다(NPR, 2024)24).
유권자들에게 바른 정보를 제공한다는 취지로 오래 전부터 전통적으로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사설을 실었던 신문들이 이번 대선에선 지지를 중단한 것도 자체 공식 발표로만 본다면 공정성 유지 노력이었다. <워싱턴포스트>는 특정 후보 지지 중단을 선언했고(Washington Post Editorial Board, 2024)25), LA Times와 USA Today도 대선 중립을 선언했다(Los Angeles Times, 2024)26).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건 매체가 편향적이라는 인상만 준다는 설명이었지만 이 역시 오히려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일부 언론 편집장이 사주의 외압이라며 항의의 뜻으로 사임하기도 했고,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지지하지 않을 경우 받을 불이익을 두려워한 언론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언론이 오히려 권력을 눈치를 보고 위축된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왔다.
편향성 논란도 계속됐다. 같은 사건이라도 보수 후보에게 불리한 표현을 쓴 사례가 더 많았다는 내용이 미디어워치 독립 분석 보고서에서 제기되었고 (Knight Foundation, 2024)27), 진보 성향 언론들이 진보 후보의 실언이나 정책 오류를 축소 보도했다는 비판도 있었다. 실제로 UCLA 스튜어트 소로카 교수가 ABC와 CBS, CNN, FOX의 대선 보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방송사들이 양당의 후보를 비슷한 양으로 언급하면서도, 보도 감정은 진보 후보에게 다소 치우쳤던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Soroka, S., 2024)28).

좌-보도량 우-보도 감정 (양은 좌우 비슷하지만, 보도 감정은 민주당에 우호적)
언론의 경향성 자각과 책임
언론들이 공정한 보도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지만, 현실에서의 평가는 여전히 회의적이다. 특정 후보에 대한 표적보도, 여론조사의 신뢰 저하, 이에 따른 언론에 대한 불신은 언론의 자정 노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를 보여준다. 그러나 미국에는 ‘미디어 바이어스 차트(Media Bias Chart)’와 같은 언론 성향 시각화 도구가 존재해, 독자 스스로 언론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돼 있다.29)

한국 언론 역시 이러한 자율적 투명성 강화 모델을 참고해, 언론사 스스로 경향성을 인정하고, 원칙을 공개함과 동시에 소비자가 언론사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미국의 저명한 작가 마크 트웨인은 이런 말을 남겼다. “If you don’t read the newspaper you are uninformed, if you do read the newspaper you are misinformed.” 신문을 읽지 않는다면 정보를 얻지 못하겠지만, 신문을 읽는다면 잘못된 정보를 얻게 된다는 말이다. 이 보고서는 물론 다른 연구에서도 나타나듯 공정성에 대한 판단은 상대적이다. 언론사들이 최대한 노력한다 해도, 또는 절대적이라고 주장한다 해도 공정하다는 호소가 모든 이의 공감을 이끌어낼 수도 없고 절대성을 담보해주지도 않는다. 그렇다고 언론이 공정하려는 노력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공정성 확보는 언론의 책무이자, 민주주의 존립을 위한 핵심 요소다. 언론이 스스로의 경향성을 좀 더 객관적으로 자각하고, 공정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한다면, 뉴스를 뉴스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분위기도 형성될 것이다. 물론, 공정하기 위한 노력은 어디까지나 언론의 자율적 윤리 기준에 따라 이뤄져야 하며, 정치적 외압이나 강제에 의한 변화는 언론을 위축시키고, 오히려 언론의 신뢰를 더 해칠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미 대선에서 총상을 입고도 오른 주목을 높이 치켜든 트럼프 후보의 사진은 미 성조기와 함께 대중을 이끄는 지도자의 모습을 연상케 했다. AP통신이 보도한 이 사진은 실제로 트럼프 후보의 지지층을 결집시키는 결과를 낳았지만, 사진 기자 Evan Vucci가 그 짧은 순간 의도성을 가지고 이 사진을 찍었다고 곡해하는 언론은 없다. 이처럼 언론이 보도하는 뉴스는 있는 그대로 뉴스일 뿐이다. 하지만 언론사의 의도를 오해하지 않는 분위기가 형성되려면, 공정성을 지키려는 언론 스스로의 노력이 필수적이다.
*참고자료
- Pew Research Center. (2025, March 15). Few voters cite personal scandals as decisive in the 2024 race. https://www.pewresearch.org
- Federal Election Commission. (2024). 2024 candidate summary: Biden for President. https://www.fec.gov
- CNN. (2024, June 28). Biden’s debate missteps highlight age concerns. https://www.cnn.com
- Politico. (2024, June 29). Conservatives see a conspiracy around Joe Biden’s stumbles. https://www.politico.com
- CNN. (2024, August 15). Harris policy agenda explored. https://www.cnn.com
- Fox News. (2024, August 16). Harris’s radical agenda critiqued. https://www.foxnews.com
- New York Post. (2024). Socialjustice rhetoric dominates Harris speech. https://www.nypost.com
- New York Times. (2024, July 19). Trump’s legal troubles detailed. https://www.nytimes.com
- Breitbart. (2024, July 20). Political prosecutors exploited law. https://www.breitbart.com
- Daily Caller. (2024, July 22). Campaign schedule overlaps with trial dates. https://www.dailycaller.com
- ABC News. (2024). Full debate video – Presidential debate [Video]. YouTube. https://www.youtube.com
-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24). National crime statistics 2024. https://www.fbi.gov
-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24). FY 2024 budget in brief. https://www.ed.gov
- Fox News. (2024, September 11). Debate moderators slammed for bias. https://www.foxnews.com
- Missouri Independent. (2024, September 16). Grassroots group disputes ABC’s debate factchecking claims. https://www.missouriindependent.com
- TruthWatch. (2024, September 16). TruthWatch analysis of ABC debate factchecking claims. https://www.truthwatch.org
- Poynter Institute. (2024, September 15). How volunteer factcheckers audited the ABC debate. https://www.poynter.org
- Clayton, K., Davis, N., & Nyhan, B. (2024). The effect of realtime factchecking on candidate evaluations. Journal of Politics, 86(3), 1050–1064.
- Shorenstein Center, Harvard Kennedy School. (2024). Presidential debates and the gameframing of politics (Research Paper R20241). https://shorensteincenter.org
- FiveThirtyEight. (2024, November 2). Polling predictions for the 2024 election. https://fivethirtyeight.com
- Pew Research Center. (2024, November). Trust in media hits record low. https://www.pewresearch.org
- CBS News. (2024, July). Our factcheck unit and methodology. https://www.cbsnews.com
- USA Today. (2024, September). Fair coverage guidelines for Election 2024. https://www.usatoday.com
- NPR. (2024). Editorial standards & practices for 2024 election. https://www.npr.org
- Washington Post Editorial Board. (2024). Why we’re not endorsing a candidate in 2024. https://www.washingtonpost.com
- Los Angeles Times. (2024). Editorial endorsement policy shift. https://www.latimes.com
- Knight Foundation. (2024). Partisan tone in 2024 election coverage. https://knightfoundation.org
- Soroka, S. (2024). Media emotion bias in 2024 election coverage (Working Paper). UCLA Political Communication Center.
- Ad Fontes Media. (2023). Static media bias chart 2023. https://adfontesmedia.com
- 1 Pew Research Center. (2025). Few Voters Cite Personal Scandals as Decisive in 2024 Race. PewResearch.org.
- 2 Federal Election Commission. (2024). 2024 Candidate Summary: Biden for President. FEC.gov.
- 3 CNN. (2024). Biden’s Debate Missteps Highlight Age Concerns. CNN.com.
- 4 Politico. (2024). Conservatives See a Conspiracy Around Joe Biden’s Stumbles. Politico.com.
- 5 CNN. (2024). Harris Policy Agenda Explored. CNN.com.
- 6 Fox News. (2024). Harris’s Radical Agenda Critiqued. FoxNews.com.
- 7 New York Post. (2024). SocialJustice Rhetoric Dominates Harris Speech. NYPost.com.
- 8 New York Times. (2024). Trump’s Legal Troubles Detailed. NYTimes.com.
- 9 Breitbart. (2024). Political Prosecutors Exploited Law. Breitbart.com.
- 10 Daily Caller. (2024). Campaign Schedule Overlaps With Trial Dates. DailyCaller.com.
- 11 ABC News. (2024). Full Debate Video – Presidential Debate. YouTube.
- 12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2024). National Crime Statistics 2024. FBI.gov.
- 13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24). FY 2024 Budget in Brief. ED.gov.
- 14 Fox News. (2024). Debate Moderators Slammed for Bias. FoxNews.com.
- 15 Missouri Independent (2024). Grassroots Group Disputes ABC’s Debate Fact-Checking Claims. MissouriIndependent.com.
- 16 TruthWatch (2024). TruthWatch Analysis of ABC Debate FactChecking Claims. TruthWatch.org.
- 17 Poynter Institute. (2024). How Volunteer FactCheckers Audited the ABC Debate. Poynter.org.
- 18 Clayton, K., Davis, N., & Nyhan, B. (2024). The Effect of RealTime FactChecking on Candidate Evaluations. Journal of Politics, 86(3), 1050–1064.
- 19 Shorenstein Center, Harvard Kennedy School. (2024). Presidential Debates and the GameFraming of Politics (Research Paper R20241).
- 20 FiveThirtyEight. (2024). Polling Predictions for the 2024 Election. FiveThirtyEight.com.
- 21 Pew Research Center. (2024). Trust in Media Hits Record Low. PewResearch.org.
- 22 CBS News. (2024). Our FactCheck Unit and Methodology. CBSNews.com.
- 23 USA Today. (2024). Fair Coverage Guidelines for Election 2024. USAToday.com.
- 24 NPR. (2024). Editorial Standards & Practices for 2024 Election. NPR.org.
- 25 Washington Post Editorial Board. (2024). Why We’re Not Endorsing a Candidate in 2024. WashingtonPost.com.
- 26 Los Angeles Times. (2024). Editorial Endorsement Policy Shift. LATimes.com.
- 27 Knight Foundation. (2024). Partisan Tone in 2024 Election Coverage. KnightFoundation.org.
- 28 Soroka, S. (2024). Media Emotion Bias in 2024 Election Coverage. UCLA Political Communication Center Working Paper.
- 29 Ad Fontes Media. (2023). Static Media Bias Chart 2023. AdFontesMedi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