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나만의 루틴 만들기

by

나만의 루틴 만들기

미국에서의 연수도 어느덧 중반으로 접어들었습니다. 모든 것이 설레고 새로웠던 연수 초반을 지나 이제는 익숙함 속에 초조한 마음도 조금씩 들기 시작합니다. 남은 기간을 어떻게 보내야 한국에 돌아갔을 때 후회가 적을까 하는 생각합니다. 평소 하고 싶었던 것들에 도전하고 건강한 루틴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 이곳에서 아이와 단둘이 지내고 있기 때문에 아이가 학교에 간 시간을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 매일 아침 손을 흔들며 스쿨버스를 떠나보낸 이후엔 약간의 해방감과 함께 나름대로 분주한 일과가 시작됩니다.


사진 설명 : 집 근처의 공립도서관

독서(관심 분야 원서 읽기)

이곳에서는 ‘책 읽을 시간이 없다’는 핑계도 댈 수 없기에 독서 습관을 붙이려고 노력합니다. 재미 교포 출신 작가들의 ‘Pachinko’(파친코)나 ‘Crying in H Mart’(H마트에서 울다) 같은 책들은 한국 정서가 깔려 있기에 소설이지만 원서로 읽기에도 큰 부담이 없습니다.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에서 일본으로 건너 간 4세대에 걸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 ‘파친코’의 경우 ‘History has failed us, but no matter’ (역사는 우리를 저버렸지만 그래도 상관 없다) 같은 강렬한 첫 문장으로 시작해 읽는 내내 흡입력이 있었습니다. 이곳에 와서 마음의 고향과도 같은 H마트를 자주 가는 저로선 교포 2세 작가의 ‘H마트에서 울다’도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습니다.

제가 연수중인 조지워싱턴대 세미나가 인상적이어서 강연자들의 저서를 찾아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난 가을 조지워싱턴대에서 한국 내 반중 정서의 흐름과 이것이 한미 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강연했던 스탠포드대 신기욱 교수가 공동저자로 참여한 ‘South Korea’s Democracy in Crisis’도 흥미로웠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이끌어 낸 2016~2017년 촛불집회 이후 2022년 대선까지 한국 민주주의의 현주소를 다룬 최신 저서로 양극화와 포퓰리즘, 상대 진영을 적대시하는 정치 극단주의를 짚은 책입니다. 신기욱 교수가 당시 세미나에서 이 책이 한국어 번역판으로도 곧 나올 예정이라고 소개했는데 지금쯤 나왔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조지워싱턴대 북한 인권 세미나 강연자로 나온 로버트 킹 전 미국 북한인권특사가 자신의 신간이라며 소개한 ‘북한의 난제: 인권과 핵안보의 균형’(The North Korean Conundrum: Balancing Human Rights and Nuclear Security)도 구매해서 읽는 중입니다. 북한 인권과 비핵화 협상 간의 균형에 대한 인사이트를 조금이나마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미셸 오바마의 ‘The light we carry’도 전작 ‘Becoming’에 이어 재밌게 읽었습니다. 선배 여성 멘토를 만난 느낌이랄까요. 이 책 출간 당시 워싱턴 DC에서도 북콘서트를 열길래 티켓 예약을 알아봤지만 가격이 무려 300달러에 달하기에 북콘서트는 포기했습니다. 조선일보의 인터뷰 기사를 보고 집어든 수전 케인의 ‘Bittersweet’는 우리가 종종 느끼는 슬픔과 우울함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줬습니다. 집 근처 공립도서관에 가면 복잡하기 짝이 없는 미국 대선 시스템, 대통령제와 미국 민주주의 역사를 알기 쉽게 다룬 책들도 많이 나와 있어서 대여해서 읽곤 합니다. 도서관에서 우연히 접한 미 의회의 ‘9.11 보고서’(2004년 발간)도 인상 깊게 읽었습니다. 워낙 두꺼워 발췌독을 했지만, 9.11 테러 사건 전후 상황과 역사적 맥락을 되도록 객관적인 입장에서 상세하게 다룬 미 기관들의 집요함에 감탄했습니다.

연수기간 여행을 많이 하게 되는데 아는 분으로부터 추천받은 ‘DK eyewitness’ 출판사의 미 도시별 가이드북 시리즈도 참고가 많이 됐습니다. 단순 가이드북이라기보다는 그 도시의 역사나 랜드마크와 관련된 이야기들이 틈틈이 소개돼 있어 읽는 그 자체로도 재미있습니다. 뉴욕, 워싱턴DC 등 주요 도시별로 책이 나와 있습니다.

운동

원래 미국에 오면 수영을 취미로 삼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동네 렉 센터(레크리에이션 센터의 줄임말)에는 성인 대상으로는 저녁 강좌 밖에 없어서 혼자 아이를 돌봐야 하는 저로서는 가기가 어려웠습니다. 차일피일 미루다가 12월 초 그룹 피트니스에 등록했습니다. 제가 원하는 시간대를 선택해 언제든지 갈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었습니다. ‘Orangetheory’라는 이름의 피트니스인데, 미국 전역에 1000곳 넘는 지점이 있다고 합니다. 수업을 가게 되면 고강도 인터벌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1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하게 됩니다. 한국에서 건강검진을 할 때마다 ‘일주일에 숨이 차는 고강도 운동을 몇 번 하나’, ‘일주일에 산책 같은 가벼운 강도의 운동을 몇 번 하나’라는 질문에 당당하게 ‘0회’를 적었던 저로선 몇 년 만의 운동인지 모르겠습니다. 심박수 모니터링 밴드를 팔에 차면 수업에 참여한 멤버들의 심박수 현황과 칼로리 소모량이 앞의 전광판에 나타납니다. 자신의 최고 심박수의 84~91% 정도를 ‘오렌지 존’, 그 이상을 ‘레드 존’이라고 하는데, 이 두 구간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수록 운동 효과가 커진다는 것이 이곳의 설명입니다. 운동을 시작한 초반에는 저질 체력을 인증하듯 제 이름이 있는 전광판 부분만 ‘레드 존’으로 수시로 바뀌어서 마치 비상등이 켜진 냥 민망했지만, 이제는 안정적으로 ‘오렌지 존’에 머무를 때가 보다 많습니다. 일주일에 3-4회씩 운동을 하면서 조금씩 근육도 체력도 늘어나는 듯한 변화를 느낍니다. 이제 겨우 시작이니 질리지 않고 최대한 습관으로 이어가는 것이 목표입니다.


사진 설명 : 링컨메모리얼 호수에서 오리들에게 모이를 주는 딸

한국에서 바쁘다는 이유로 아이에게 온전히 집중하지 못했던 저로선 아이와의 소소한 루틴 만들기도 즐겁습니다. 다음날 등교 걱정을 안 해도 되는 주말 밤이면 디즈니나 마블 영화를 한편씩 보다가 자는 것이 루틴이 됐습니다. 조명을 어둡게 하고 거실 소파에 앉아 아이와 꼭 붙어 있는 그 시간이 평화롭고 소중하게 느껴집니다. 시간이 나는 주말마다 워싱턴DC의 링컨 메모리얼 앞에 있는 호수에 가서 오리들에게 모이를 주기도 합니다. 준비해 간 빵을 조금씩 잘라 던져 주면 순식간에 대여섯 마리가 모여들고, 신난 아이 모습을 보는 제 마음도 덩달아 즐거워집니다. 아이 겨울방학을 맞아 조지타운대 근처 포토맥 강변 아이스 링크에서 자주 탔던 스케이트도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