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도로시아 랭과 보도 윤리

by

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도로시아 랭

지난해 11월부터 워싱턴DC에 있는 내셔널 갤러리 오브 아트에서는 1930년대 미국의 대공황기를 대표하는 사진가 도로시아 랭(Dorothea Lange) 사진전이 열리고 있다. 1895년 태어난 랭은 처음에는 사진관에서 사람들의 초상 사진을 찍으면서 돈을 벌었지만, 1930년대 들어서 대공황 시기 미국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사진을 촬영하며 명성을 얻게 된다.

당시 랭은 일자리를 찾아서 농촌 지역을 떠난 이주민들을 돕던 연방 정부 기관이었던 재정착국(Resettlement Administration)과 계약을 맺고 농촌 지역과 이주민들의 빈곤한 상황을 촬영했는데, 이때 발표한 작품 중 하나가 미국의 대공황기를 상징하는 사진인 <이주민 엄마 Migrant Mother>.

마치르네상스시절에그려진성모마리아그림을연상케하는이사진은 1936 <샌프란시스코 뉴스>에 실리자마자 전국적으로 즉각적인 반응을 얻었고, 농촌 빈곤 계층에 대한 연방 정부와 시민 사회의 관심이 높아지는 데에도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정작 이 사진에 등장하는 여성의 신원은 한참 후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전시장에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랭은 당시 캘리포니아의 한 이주민 캠프에서 이 사진을 찍었는데, 사진의 주인공인 여성은 사실 이주민이 아니었다.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자동차가 고장나 잠시 근처 이주민 캠프에서 남편이 차를 고칠 때까지 기다리고 있던 여성이었다. 랭은 사진 촬영 당시 이 여성이 누군인지 신원을 묻지도 않았고, 사진의 용도를 정확히 설명하지도 않았으며, 사진이 널리 알려진 후에도 해당 여성에게 사진을 보내주지  않았다고 한다. <이주민 엄마>  보도 사진 역사에 남는 작품이 됐지만, 이 작품을 촬영하면서 랭은 보도 사진가로서 기초적인 윤리를 지키지 않은 것이다.

윤리 논란과 별개로 전시회에서 마주친 랭의 작품들은 대단히 인상적이었다. 미국 정부에 의해 강제 수용되는 일본계 미국인들의 모습을 촬영한 작품들과 군수품 공장을 중심으로 형성된 활기찬 신도시의 모습들을 담은 사진들은 2차 대전 당시 미국 사회의 양 면적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줬다. 특히 일본계 미국인들이 강제 수용되는 모습을 찍은 사진들은 랭이 미국 정부 의뢰를 받아 촬영한 것이지만, 랭의 비판적 시각이 강하게 반영되어 강제 수용되는 일본계 미국인들의 인간적 품격을 돋보이는 작품이 된 탓에 미국 정부가 오히려 사진 배포를 막았다고 한다.

전시회에는 랭이 6.25 전쟁이 한창이던 시절 한국을 방문해 찍은 사진들도 전시돼 있었다. 전쟁의 참화 속에서도 침착하고 고요한 표정을 하고 있는 소년을 찍은 <한국 아이 Korean Child>라는 작품이 가장 돋보였다. 이 사진에 등장하는 소년이 이제 80대 노인이 되어서  이곳 워싱턴DC에 와서 랭의 작품을 보고 있을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가 얼마나 먼 길을 걸어왔는지 새삼 체감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