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미국에서 흑백요리사를 만나면 벌어지는 일

by

처음 미국에 와서 가장 막막했던 것이 삼시세끼였습니다. 미국은 대부분 일부 대도시를 제외하곤 집 근처에 식당이 마땅치 않고 배달도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물가가 너무 비싸 외식으로 끼니를 해결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결국 식사를 준비하기 위해 마트에서 식재료를 구매하고 직접 요리하는 게 불가피합니다. 다행히 제가 지내는 미주리주 콜럼비아의 일상은 여유롭다 못해 무료했고, 외식 물가에 비해 식자재 값은 저렴하며 종류도 다양했습니다. 지금껏 도전해보지 못했던 다양한 요리를 해 먹을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그러던 중 ‘흑백요리사’라는 예능 프로그램이 선풍적 인기를 누렸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당시 무료함을 호소하던 저를 비롯한 40대 한국인 아재들의 ‘요리 부심’을 자극했습니다.

중식도가 왜 거기서 나와

저는 자취생활을 오래 했기 때문에 요리를 전혀 못하는 편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기껏해야 김치찌개나 계란말이 같은 간단한 반찬 및 술안주를 만드는 수준이었습니다. 미국에서도 딱 그 정도 수준의 음식만 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부엌 서랍 속 깊숙한 곳에서 네모난 식칼이 발견됐습니다. 생김새가 딱 중식도(刀)였습니다. 여러 한국인들이 거쳐가면서 세간살이가 켜켜이 쌓인 집을 이어받았는데, 누군가 중식에 도전했었던 것 같습니다. 집안 구석구석에서 예상 못한 유물이 수시로 발견되던 때였기에 대수롭지 않게 넘겼습니다.

그런데 며칠 후 흑백요리사라는 예능 프로그램이 나왔습니다. 다양한 중식 요리사들이 중식도로 야채를 썰고 마늘을 찧는 모습이 그렇게 멋져보였습니다. 마침 제게도 중식도가 있었습니다. 중식에 도전하지 않을 이유가 없었습니다.

나의 요리 본능을 일깨운 중식도. Made in USA였다.

첫 시작은 자장면이었습니다. 한국에서 가져온 짜파게티에 중식도로 썬 양파와 각종 야채를 추가해 응용하는 수준으로 출발했지만 연습할 시간이 많았던 덕분에 단기간에 완성도가 높아졌습니다. 나중에는 돼지 비계로 기름을 추출하고, 거기에 춘장을 볶아 사용하고 파기름을 내는 등 실제 중국집과 거의 비슷한 방식으로 자장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면 역시 처음에는 라면 사리를 이용했지만, 나중에는 스파게티면을 물에 불려 실제 자장면과 거의 같은 식감을 구현했습니다. 입소문이 나면서 한동안 저희 집은 자장면을 찾는 손님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미국에서 자장면을 질리도록 먹을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

홍소육을 아시나요

자장면으로 자신감을 얻게 되자 좀 더 그럴듯한 요리에 도전해보고 싶어졌습니다. 특히 흑백요리사에 등장했던 동파육이 욕심났습니다. 아시안 식료품점들을 돌아다니며 중국산 간장, 맛술, 향신료 등 동파육에 필요한 재료들을 구비했고, 다양한 레시피를 참고해가며 동파육을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여러번의 도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먹어봤던 동파육처럼 야들야들하고 쫄깃한 식감, 반들거리는 색감은 구현할 수 없었습니다. 연습으로는 넘을 수 없는 벽이 느껴졌습니다.

그러던 중 흑백요리사에서 동파육과 비슷한 ‘홍소육’이라는 요리가 잠깐 언급됐습니다. 유튜브를 찾아보니 홍소육은 동파육보다 훨씬 난이도가 낮았고, 무엇보다 한국인 중 홍소육의 원래 맛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심리적 부담이 없었습니다. 그렇게 제멋대로 홍소육을 만들었는데, 맛본 사람들은 의외로 ‘별미’라고 호평해줬습니다. 흑백요리사는 끝났지만 이후로도 저는 탕수육, 유린기, 짬뽕 등 다양한 음식에 도전하면서 중식 꿈나무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홍소육을 대접하는데 있어 가장 큰 장점은 이 요리가 원래 어떤 맛인지 아무도 모른다는 점이다.

미국에서의 연수가 끝나고 한국으로 돌아간다면 지금처럼 취미삼아 요리를 하는 일상은 기대하기 어려울 것입니다. 연수를 나오기 전 그랬던 것처럼 배달 음식과 마트 밀키트에 의존하겠죠. 하지만 이곳에서 손수 만든 요리를 지인들과 나눠먹었던 추억은 평생 잊지 못할 것 같습니다. 올 하반기쯤 흑백요리사 시즌 2가 나온다고 하는데, 미국에서 갈고닦은 요리 실력을 한국에 계신 가족과 친구들에게도 보여줄 수 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