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베를린 연수기1- 먼나라 이웃나라

by

독일 베를린공대 산하 리모델링연구소(IEMB)에서 연수중인 한국경제신문 김호영 입니다. 연수 주제는 ‘독일 통일이후 베를린에서 진행된 건물 리모델링 사례 연구’ 입니다.

리모델링연구소는 1992년에 설립됐습니다. 1989년 말 베를린 장벽이 허물어지고 이듬해 동독과 서독으로 나눠져 있던 독일은 통일 됐습니다. 독일 연방정부는 통일 이후 옛 동독지역의 주거 여건을 개선할 목적으로 리모델링연구소를 설립했습니다. 지금도 리모델링연구소의 예산은 연방정부에서 대부분 지원되고 있습니다.

베를린공대 소속 연구소인 것은 대학과의 유기적인 교류 목적 외에 실험기자재를 저렴하게 구입하려는 ‘영수증 처리 의도’가 있다고 같은 연구실을 쓰는 독일 연구원은 설명합니다.

지난해 6월말부터 연구실 열쇠를 받았으니까 연수 일정도 거의 끝나 갑니다. 연수 만족도는 200% 쯤 됩니다. 이유는 리모델링에 대한 시각이 확 달라졌고 내 나름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자양분을 연수기간동안 공급 받았다고 느끼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분 좋았던 연수기를 풀어나가려니 그 내용에 약간 ‘오버’가 있을 수 있다고 예보합니다. 감안해서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1
나의 해외 연수경험을 얘기하려면 서강대 안세영 교수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네덜란드 레이든(Leiden)대학의 입학허가를 유지하고 있던 2001년 초여름 어느날. 나는 정부부처 고위 공무원 출신의 안 교수에게 점심을 사겠다고 제안했다.

다음해 언론재단에 해외연수를 지원할 목적으로 입학허가를 받아 놓았지만 정말인지 당시엔 연수주제를 ‘작문’할 구상이 막막하던 때였다. 유럽통합을 주제로 개설됐던 1년 과정의 입학 허가였지만 그런 주제를 내걸고 해외연수를 지원한다는 게 식상해 보인다고 나는 생각했었다.

그래서 프랑스에서 공부한 안 교수에서 조언을 듣고 싶었다. 지금 생각하면 아주 유치한 발상의 자문 구하기 였지만 결과적으로 안 교수의 조언 때문에 나는 레이든대학이 아닌 베를린공대 리모델링연구소에서 연수하게 됐다.

“김형, 왜 해외연수를 갈려고 하는 거유?”(띠~이잉)
“나도 프랑스 유학 가려고 할 때를 생각해보면 유학 자체가 목적이었던 것 같아. 유학이든 단기 연수든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이라고 나는 생각해. 1년 과정의 연수라도 그 연수가 개인의 발전, 나아가서는 몸담고 있는 회사에 보탬에 되도록 주제를 정하는 게 옳다고 봐”

안 교수는 나에게 한 얘기를 잊었을지는 몰라도 나는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 안 교수를 만난 지 며칠 후 나는 레이든대학 입학 허가 통지서를 부욱 찢어 버렸다.

# 2
LG상남언론재단 홈페이지를 열어 본다. ‘지난 연수자’ 목록이 있다. 1996년에 1기 해외 연수 언론인으로 10명이 선발됐다. 2004년까지는 모두 80명이 뽑힌 것을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중국으로 해외연수를 지원한 기자 수는 7명, 영국으로 5명, 프랑스 4명, 독일과 일본 각각 2명, 호주 1명이다. 대다수인 59명은 미국 대학이나 기업에 연수했거나 연수를 계획하고 있다. 미국에 꿀단지가 있나. 왜 미국이 선호되는 것일까.

우선 미국 대학의 시스템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해본다. 일정 조건 또는 요건만 갖추면 외국인을 받아 들이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쉽게 미국 대학에서 연수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좀 삐딱하게 보면 미국 대학이 ‘영업’을 잘 한다고도 볼 수 있다.

연수 지원자 입장에선 미국이 편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언어가 덜 낯설게 느껴질 것이고 어린이가 있는 집이라면 어린이의 장래를 감안해서도 미국을 연수지로 선택하는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다양한 국가이기 때문에 다양한 주제를 공부할 목적도 있을 테고 큰 나라를 횡단, 또는 종단 여행을 통해 체험을 얻고 싶은 욕심도 있을 수 있다.

어쨌든 연수자 숫자만 놓고 보면 미국은 이웃 나라, 그 이외의 나라는 먼 나라로 보여진다. ‘먼 나라 이웃 나라’는 내가 꽤나 열심히 읽은 교양 만화 제목인데 먼 나라도 알고 나면 이웃 나라가 된다는 게 저자인 이원복 교수의 설명이다. 정말인지 세상은 넓고 이웃이 될 나라는 많다.

내가 반미주의자는 아니지만 편식은 몸에 해롭다,고들 하지 않는가.

# 3
서울에서보다 연수 기간 중에는 당연히 공상을 많이 하게 된다. 표현을 조금 다듬어서 ‘관찰과 사유’의 시간을 많이 갖게 된다. 두 가지 공상을 했다.

하나는 한국에 부동산 투기가 성행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뭘까. 부동산 값이 안정돼 있고 한국보다 사회보장제도-독일에선 개혁과제이지만-가 앞서 있는 독일 관점에서 접근했다.

동료 독일 연구원(36세)은 월급 받아 스키타고 윈드서핑하는 게 인생의 낙처럼 보인다. 월급의 절반 정도가 세금으로 나간다고 하지만 은퇴하면 연금 나오는데 걱정할 게 뭐 있나.

평균적인 한국 직장인은 회사에서 버림받으면 뭘 먹고 사나, 하는 걱정이 앞설 게다. 실업수당을 받으면 더 창피해 보이고 연금은 바닥이 보인다는데…. 방법은 하나다. 한 살이라도 젊을 때 자력갱생 해야 한다.

자력갱생 방법 중 꽤나 효과적으로 보이는 게 부동산에 찔러 보는 것이다. 자력갱생에 쏟아지는 에너지를 공공의 목적으로 쓰여지도록 누가 나서야 하는 게 아닐까.

다른 하나는 귤과 탱자에 관한 공상이다. 미국이나 독일에서 괜찮은 시스템이 있다고 치자. 예를 들면 미국의 교육 시스템이 본받을 만하다고 하자. 독일에선 건축기술 시스템을 탐 낼 만 하다고 가정하자.

그래서 공부하러 많이 들 떠난다. 미국에서 교육학을 공부한 한국인이 수 천명쯤 되지 않을까. 베를린 공대 건축과 로비에 30분 정도만 앉아있으면 한국 학생을 만날 수 있다. 그런데 한국 교육 시스템과 건축기술 시스템의 발전은 더디다 고들 하는 것일까.

미국 교육제도, 혹은 독일 건축기술 시스템은 잘 아는데 정작 한국 상황은 잘 모르는 게 아닐까. 그 시스템이 만들어지기 까지 수 십년, 또는 수 백년이 걸렸을지도 모르는데 지금 현상으로 보여지는 결과만 한국에 적용하려 했던 것은 아닐까. 몸에 옷을 맞추듯이 말이다.

해외에서 연수를 하더라도 눈은 한국 현실을 조준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