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북경일기5(중국 청년을 읽는 창)

by

다양한 정보의 보고(寶庫)



저는 연수 중반에 접어든 뒤 거의 매일 들러 보는 인터넷 사이트가 생겼습니다. 바로 북경대학 BBS인 ‘베이따웨이밍BBS’(北大未名BBS•hhp://bbs.pku.edu.cn)입니다. 북경대 학생들이면 누구나 이용하는 이 사이트는 제게 중국의 미래를 엿보는 창이었습니다.



이곳에는 북경대 생활의 온갖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학술강좌 안내, 각종 서클모임에서 이뤄지는 활동 내용, 학교 문화행사 안내, 사고팔기 정보, 부동산임대차 정보, 자유게시판 등 다양하게 구성돼 있습니다. 처음 이 사이트에 들렀을 때는 도무지 어떻게 둘러봐야 할지 막막하더니 익숙해지고 난 뒤부터는 저의 주요한 정보원 역할을 톡톡히 했습니다.



제가 앞에서 왜 북경대가 연수기관으로 좋은지 말씀드렸는데, 북경대BBS에 들러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북경대 내에서는 외국의 유명 학자를 초청하거나, 중국 내 다른 대학 유명 학자, 또는 북경대 교수가 강사로 참여하는 공개강좌가 일주일에 2~3차례 이상 열립니다. 북경대BBS는 이런 학술정보를 충실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시간과 장소는 물론이고 강사의 간단한 약력과, 강의에서 사용하는 언어(외국 학자가 강사로 나오는 경우도 많으므로), 참석을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내용 등이 일목요연하게 제시되죠.



저도 이 사이트를 알고 난 뒤부터 꼼꼼하게 강좌안내를 살피다가 관심 있는 공개강좌를 몇 차례 들었습니다. 그러나 아쉽게도 저는 정말 ‘몇 차례’에 그치고 말았습니다. 4월로 접어든 이후에는 사스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강좌를 모두 취소했기 때문에 강좌 자체가 열리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궁여지책으로 BBS상에서 온라인 강좌를 2~3차례 연 적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6월10일 오후 7시부터 8시까지 북경대 경제연구중심 린이푸(林毅夫) 교수가 BBS 상에서 ‘학교 내외의 신용제도 건립’이라는 주제로, 학생들과 문답을 주고받는 방식을 통해 온라인 강좌를 열었습니다. 린 교수는 대만 출신으로 대만에서 농업경제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전공을 제대로 공부하고 살리기 위해서는 본토로 가야한다고 결심하고 배구공 두 개를 가슴에 묶어 대만해협을 건넜던 인물입니다. 현재는 정협위원도 맡고 있는 북경대학의 스타교수 중 한 명입니다. 린이푸 교수의 명성은 익히 알고 있던 터라 나는 강좌 안내를 보고 온라인 강좌에 꼭 참여해보고 싶었지만, 강좌 시간에 다른 용건이 있어서 결국 들어가보지 못했습니다. 이 사이트를 일찍 알았더라면 사스가 발생하기 전에 진행된 강좌에 참여할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있었을 텐데, 아쉬움이 컸습니다.



중국 엘리트 청년들을 엿보는 창



웨이밍BBS의 참 재미는 강좌 안내보다는 역시 중국 엘리트 청년들의 속내를 들여다보는 것입니다. BBS홈페이지에는 그날의 인기화제 10선(選)이 소개됩니다. 한 사람이 올린 글에 대해 리플이 많이 붙은 순서로 순위를 매깁니다. 대부분 신변잡기에 대한 내용들입니다만, 간혹 진지한 내용이 뜰 때도 있습니다. 인기화제 10선은 학생들의 재치와 위트가 만발하는 공간입니다. 최근에 읽은 것 중 기억에 남는 것은 한 여자 졸업생이(중국 대학의 졸업식은 7월에 있음) ‘내 인상 속에 남아 있는 북경대 남학생’이라는 제목으로 올린 글이었습니다. ‘내가 접촉한 북경대 남학생이 많지는 않지만, 그들 대부분은 총명하고, 성실하며, 도리를 잘 알았고, 감정도 한결 같았다’라는 글이었습니다. 그러자 첫번째 달린 리플 내용이 이랬습니다. ‘그래서 하는 말하는데, 니가 아는 북경대 남학생이 너무 적다는 거야’.



10대 인기화제에 가장 자주 선정되는 화제 유형은 ‘누구의 생일을 축하한다’는 글입니다. 중국의 대학생들은 예외 없이 모두 기숙사 생활을 하기 때문에 학우들의 생일이 알려지면 온라인상에서라도 너나 할 것 없이 축하인사 대열에 참여하더군요. 또 유학이 결정된 학생이 자축하는 글을 올리는 경우도 간혹 있었습니다. 중국 대학생들에게 유학은 가장 큰 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정한 주제로 격론을 벌이는 논쟁은 좀처럼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우리 사이트에서는 어느 곳에서나 흔하게 볼 수 있는 논쟁이 중국 사이트에서는 좀처럼 일어나지 않습니다. 나름대로 생각한 결론은 첫째, 여전히 언론통제가 심하기 때문일 것이고(논쟁이 격해지면 언젠가는 선을 넘기 마련이죠) 둘째, 문화혁명을 겪은 경험 때문인지 대부분의 중국인들은 드러내놓고 진행하는 논쟁을 극도로 기피하는 것 같다는 것이었습니다. 오랫동안 사이트에 올라오는 글들을 보면서 제가 추측하기론 완전한 발언의 자유가 보장된 공간은 아닌 것 같았습니다. 학교 당국에서 일정하게 감독하고 있는 것 같고, 학생들도 그 사실을 알고 있는 것 같았습니다.



간혹 인위적인 통제에 억눌려 있는 젊음이 발산되는 순간도 있습니다. ‘현재의 중국 정부는 인민들의 진정한 권리를 결코 원하지 않고 있다’는 수위 높은(?) 발언을 하는 친구가 있는가 하면 언론보도에 심한 불신을 표시하는 경우는 적지 않았습니다. 북경대 학생들은 물론이고, 일반인들도 중국 언론에 대한 불신의 정도가 상상 이상입니다. 이런 불신은 좀처럼 공식적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가까운 중국인과 이야기를 나누다 언론이 화제에 오르다 보면 금방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데, 사스가 기세를 부릴 때 북경대BBS상에서 공개적으로 중국 언론에 대한 학생들의 불신이 드러난 적이 있습니다. 북경대BBS가 5월30일 온라인상에서 언론매체의 사스 보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는데, 전혀 사실을 보도하지 않고 대중을 오도하고 있다’가 21%, 어느 정도 사실을 숨기고 있으나 민심을 안심시키고 있다가 72%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오도하거나 사실을 숨긴다고 보는 학생이 93%에 달했습니다. 학교에 대한 대책 건의를 묻는 질문 항목에도 ‘관련 소식을 적기에 투명하게 공개하라’는 의견이 가장 많은 32%를 차지했더군요. 중국 청년들은 언론의 왜곡, 은폐보도가 심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당국(넓게는 정부, 좁게는 학교)의 각종 정책-대책도 불투명하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불신과 불만들이 어쩌면 이렇게 아무런 흔적 없이, 조용하게 잠재돼 있을까 하는 것이 제게는 놀라움이었습니다.



지금까지 북경대BBS상에서 본 내용들 중 기억에 남는 것은 주은래 전 총리 기일(忌日)에 올린 학생들의 추모글이었습니다. 인기화제 10선 중 3~4개가 모두 주은래 총리 추모와 관련해 올린 글들이었습니다. 당시 게시판에 올라왔던 글에는 주은래에 대한 학생들의 존경심이 절절했습니다. 주은래 시대를 현재, 미래와 연관 지어며 당면한 중국의 과제를 역설한 글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물론 리플로 올라온 글 중에는 주은래에 대해 박한 평가를 내린 내용도 있었습니다만,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주은래는 1976년 1월 사망했습니다. 이미 17년이 지났죠. 지금의 대학생들은 주은래 시대를 체험으로서는 거의 기억하지 못한다는 말입니다. 그런 그들이 주은래의 기일에 맞춰 너도나도 추모의 글을 올리는 모습은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일입니다. 우리 지도자들이 중국의 지도자보다 못했기 때문일까, 아니면 우리가 과거 지도자들의 장점을 보려고 하지 않고 허물만 뒤적거리고 있기 때문일까, 잠시 생각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