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일본생활3 – 아이 일본 학교 보내기

by

일본에 와서 외국인등록을 마치고 할 일은 아이 학교 보내는 것이었습니다.
큰 아이가 초등학교 4학년, 둘째는 유치원을 다니다 일본에 왔습니다. 내심 걱정이 이만저만한 게 아니었습니다. 큰 아이의 경우 히라가나, 카타가나를 간신히 외우고 온 정도였고 둘째는 일본말을 아예 할 줄 모르는 상태였기 때문이었습니다.
“아이들은 외국어를 빨리 배우니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말만 되뇌면서 전학 준비를 했습니다만, 솔직히 제대로 이곳 아이들과 친해질 수 있을지, 학교나 유치원에 적응할 수 있을 지 걱정이었습니다.

일단 구야쿠쇼(区役所 우리나라의 구청) 아동교육 담당계를 찾아가 큰 아이 전학 신청을 했습니다. 전학 그 자체는 그리 큰 문제가 아닌 듯 한데, 매뉴얼에 따라 모든 게 이뤄지는 나라인지라 신청 서류가 다소 복잡했습니다.
예를 들어, 예방접종 등 현재까지의 건강 상태를 기록하는 것은 물론이고요(이를 위해 한국에서 자주 다니던 병원에서 의료 기록을 따로 떼어 가지고 왔습니다.) 언제쯤 말을 했는지, 걷는 것은 언제부터였는지, 자라면서 큰 사고는 없었는지 등을 빼곡하게 써서 내야 합니다. 세세한 것을 다 기억해서 적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았지요.

신청 서류를 접수하자 구약쿠쇼 직원이 바로 전학이 가능한 학교로 연락을 해 주더군요. 물론 집근처에 있는 학교였습니다. 걸어서 10분 거리에 있는 학교로 오치아이다이이치(落合 第一)소학교라는 곳입니다. 일본의 소학교(즉 초등학교)는 아이들이 그리 많지 않은 듯 합니다. 큰 아이가 다니는 학교 역시 전교생이 500명 정도에 불과합니다. 4학년도 2개반 밖에 없습니다. 한 반은 30여명 정도입니다.

큰 아이는 일본에 온지 일주일도 안돼 바로 전학을 했습니다. 전학에 앞서 일종의 면접을 위해 아이와 함께 학교를 방문했습니다. 이 학교의 유일한 한국인 학생이었던지라 학교측에서도 상당히 신경을 쓰는 것 같았습니다. 면접 당일 교장, 교감, 담임 등이 모두 나와서 우리 가족을 맞아 주었습니다.

참고로 일본의 경우 일본어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 학생을 위해 일정 시간 일본어 수업을 따로 시켜주는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큰 아이도 일주일에 2~3번(한번에 2시간씩), 3개월 정도 재일교포 선생님으로부터 일본어 수업을 받았습니다. 중학생까지 이런 프로그램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확실히 아이들의 외국어 실력은 빠릅니다. 현재 저희 가족 중에서 큰 아이가 생활 일본어를 가장 잘 합니다. 처음에는 일본어(이곳에서는 물론 국어겠지요) 교과서를 읽는 숙제가 그렇게 어려울 수 없었습니다.

한자 요미가타(読み方), 즉 읽는 법을 찾기 위해 한줄 한줄 사전을 뒤적일 수 밖에 없었습니다. 잘 아시겠지만 일본어는 한자 읽기가 장난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生’은 우리나라 말로 ‘생’ 한 글자로 발음이 되지만 일본어는 단어에 따라 여러 가지로 발음이 되기 때문입니다. 생활(生活)이란 단어인 ‘세이카츠’일 때는 ‘세이(せい)’ ‘생사(生死)’ 즉 ‘쇼우지’로 읽을 때는 ‘쇼우(しょう)’ 입니다. 한자 음이 아니라 훈으로 읽으면 더 복잡해 집니다. 태어나다는 뜻의 ‘우마레루(生まれる)’일 때는 ‘우(う)’로, 살다는 뜻의 ‘이키루(生きる)’일 때는 ‘이(い)’로 발음이 됩니다. 생맥주가 일본어로 ‘나마 비루’인 것은 아시죠? 이때의 발음은 ‘나마(なま)’입니다. 이 밖에도 더 많이 있습니다. 현재 큰 아이는 한자를 보면 이 글자가 어떻게 발음될 지를 감각적으로 알아차릴 정도로 일본어가 늘었습니다.

다음은 우리 둘째. 아직 학교 입학전이라 둘째 아이가 갈 만한 곳은 유치원과 보육원이었습니다. 유치원은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까지만 운영됩니다. 2시 이후에는 데려와야 합니다. 보육원은 오후 늦게까지 아이를 맡겨둘 수 있습니다. 연령대도 갓난아이부터 취학전 아동까지 폭넓게 받고 있습니다. 구립으로 운영되고 있어 보육료 대비 시설이나 선생님 수준도 좋다고 들었습니다.

다만 보육원은 부모 모두 근무를 하고 있다는 증명을 해야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아내도 와세다 대학에서 함께 연구원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대학 사무소에 가서 별도로 근무 확인증명 서류를 받는 게 가능했습니다.
혹시 일본 연수를 앞두고 있는 분 가운데 일본에서 아이를 보육원에 맡기길 원한다면 배우자의 취업 서류 등을 미리 준비하는 게 좋을 듯 합니다.

또 한가지는 보육료에 관한 내용입니다. 보육원은 맞벌이 부부를 위한 탁아시설로, 부모의 전년도 소득수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구야쿠쇼측에서는 저에게도 전년도 소득증명원을 내라고 하더군요. 서류 자체가 없으면 접수가 안되기 때문에 부랴 부랴 한국에 있는 신문사에서 소득증명원을 팩스로 받아 첨부해 냈습니다. 그러나 1년 정도 일본에서 연수생활을 할 예정이라면 이런 번거로움 없이 올해와 마찬가지로 전년도도 ‘휴직’이었다고 하면 상대적으로 저렴한 보육료로 아이를 보육원에 보낼 수 있습니다. 이게 팁이라면 팁입니다.(다만 이를 위해서는 회사측에 미리 양해를 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보육원은 아이들이 자유롭게 뛰어 놀 수 있도록 하는 게 교육방침인 듯 합니다. 따로 취학 전 공부를 시키는 프로그램은 없지만 그림그리기, 종이접기, 장난감 만들기 등 아이들의 창의력을 키울수 있는 프로그램이 좋습니다. 보육원 앞마당에는 귤 등 과일이나 무우와 같은 채소를 키워 아이들이 직접 캐면서 수확의 기쁨을 배우고 토끼도 놓아서 키우는 등 소박한 교육환경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아무리 추워도 상의를 3벌 이상 못 입게 하는 것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속내의(내복은 안됨), 겉옷, 그리고 잠바 등 외투까지만 허용이 됩니다. 그 이상 입혀 보내면 벗겨 놓습니다. 쌀쌀한 바람이 불어도 반바지를 입고 다니는 아이들이 종종 눈에 띕니다. 추위로 다리가 새파랗게 된 아이를 보면서 너무하는 것 아니냐고 했더니 친하게 된 일본인이 “그게 바로 이 아이의 프라이드(자존심)다”고 말하는 것을 보고 놀란 적이 있습니다.

또 그래서 아이가 감기에 걸렸을 경우 열이 38도 이상이 되면 보육원은 아이를 받아주지 않습니다. 일본인 부모들도 아이가 감기에 걸리면 알아서 보육원에 보내지 않습니다. 다른 아이에게 옮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입니다. 일본인들이 입에 달고 살 정도로 자주 말하는 이른바 ‘메이와쿠’ 즉,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 입니다. 가벼운 감기라면 보육원에 보낼 수 있습니다. 다만 그때마다 보육원 선생님이 아이의 열을 재보고 38도 이하인 것을 확인하고 받아줍니다.

그러나 약은 먹여주지 않습니다. 한번은 둘째 아이가 가벼운 감기에 걸려 담당 선생님에게 점심 식사 후 약을 좀 먹여 달라고 했더니 “보육원의 누구도 아이에게 약을 먹여 줄 수 없습니다. 만일 약을 먹여야 한다면 부모님께서 보육원에 오셔서 직접 먹이도록 하세요”하는 것을 보고 난감해 한 적도 있었습니다. 남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또 남으로부터 피해를 받고 싶지 않아 하는 일본인들의 습성이 편리할 때도 있지만 너무 몰인정스럽게 느껴질 때도 있었습니다.

일본의 교육 시스템은 전반적으로 아이를 몰아가는 스타일은 아니라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큰 아이의 교과서를 보면 한국과 비교해 다소 쉬운 편입니다. 이곳에서도 초등학교에서 영어 시간이 있습니다. 4학년인 큰 아이의 경우 일주일에 한 시간 정도 인데, 네이티브 교사와 게임을 하면서 외국인에 대해 거리감을 느끼지 않도록 수업을 하는 정도 입니다. 하지만 학부모들이 구성한 스포츠 클럽 등을 통해 매주 축구, 야구 등을 하는 등 체육활동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큰 아이도 매주 주말마다 축구 클럽 활동을 하고 있는데, 코치 등은 모두 학부모들입니다. 매주 토, 일요일 아침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일주일에 6시간을 마음껏 뛰어 놉니다.

물론 일본에서도 이 같은 공교육 대신 상상을 초월하는 수업료를 내고 사립 학교나 사립 유치원을 보내는 학부모도 있습니다. 사실 일본 역시 공교육이 사회적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 오래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심각한 학력 저하에 있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일부 계층은 유치원부터 깔끔한 원복을 입고, 탄탄하게 짜여진 프로그램이 있는 사립 교육을 받게 합니다. 알아주는 유치원에 들어가야 명문 초등학교에 갈 수 있고 결과적으로 명문 대학을 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방과 후에도 한국 아이들처럼 늦은 밤까지 과외를 하는 아이들도 많이 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일본 학부모들은 오로지 대학 입학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 아이들이 취미로 연주할 수 있을 정도의 악기를 연주하고 주말에는 부자가 야구공을 주고 받으며 스포츠를 즐기고, 상식에서 벗어나지 않을 정도로 교육을 받으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는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