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록보기

“체력은 국력” – 미국의 체육

by

“달리기의 나라”


내가 정착한 곳은 LA의 남쪽 지역(South Bay)에 있는 Palos Verdes라는 반도다. 지도상으로 보면
산타모니카 비치에서 남쪽으로 해안을 따라 내려오다가 롱비치를 조금 못 미쳐 뭉툭하게 튀어나와
있는 곳이다. 평면적으로뿐만 아니라 입체적으로도 솟아올라 LA 해안에서 거의 유일하게 높은 지
대를 이루고 있는 탓에 대표적인 부촌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알려진 대로 미국은 지대가 높은 곳
일수록 집값이 비싸다. 어차피 대중교통이 유명무실한 바에야 높은 곳으로 올라 다녀야 하는 불편
함 쯤은 좋은 전망을 위해 감수할 수 있겠다는 심리다. 얼마 전 유명을 달리한 저 유명했던 무기
중개상 조풍언 씨의 으리으리한 저택도 이곳에 있다.


지대가 높다 보니 이곳 길은 수 백 미터 이상 평지가 이어지는 곳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로 오르막
내리막이 많다. 처음 이사 왔을 때는 눈 앞이 캄캄했다. 나의 연수 일상 실행 목표 1순위가 조깅이
었기 때문이었다. 한국에 있을 때 한강 둔치를 달리다 만나는 잠깐의 경사도 힘에 겨웠던 터라 종
종 1킬로미터씩 이어지는 이곳의 언덕길을 뛰어 올라가는 것은 나로써는 상상하기도 힘든 일이었다.


해서 좀처럼 조깅을 할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었는데 며칠 지나지 않아 내 자신이 한없이 작아지고
부끄러워 졌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언덕길을 아랑곳하지 않고 달리고 있었던 것이다. 아침 마다
걷기도 버거워 보이는 노인들까지 느릴지언정 분명 언덕을 달려 오르내렸다. 특히, 인근의 중 고등
학생들의 모습은 놀라울 정도였다. 뜨거운 태양이 작열하는 오후, 학교 체육시간에 남학생은 웃통을
벗어 제치고 여학생은 짧은 반바지 차림으로 마라톤을 하듯 동네 언덕길을 달려댔다. 학교 운동장이
좁을 리 없건만 늘 학교 밖으로 나와 달렸다. 거의 매일 집 앞으로 달려가는 땀 투성이의 학생들을
마주쳤다. 성장기의 운동은 평생 건강의 밑거름이 되는 법이다. 학원에 과외에, 입시전쟁에 몰려 중
학교 때부터 기본적인 운동 조차 하지 못하는 우리나라 학생들과는 너무나도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생활체육, 기회의 땅”


달리기 같은 기초 체육뿐 아니라 축구와 야구, 농구 등 각종 스포츠를 배울 수 있는 기회도 미국에
는 도처에 널려 있다. 한국에 비해 결코 부담스럽지 않은 가격으로 배울 수 있는 터라 학부모들은
아이들에게 어떤 종목을 시킬 지 시즌마다 고민에 빠지곤 한다. 종목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
부분 한 시즌(3개월)에 200달러 안팎이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종목은 축구다.


초등학교 2학년 우리 집 큰 아이도 매 시즌 축구팀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 축구리그가 운영되는 방식
이 무척 흥미롭다. AYSO(America Youth Soccer Organization)라는 기구가 리그를 운영하고 있는데,
자발적으로 생겨난 비영리 단체다. 당연히 각 팀의 코치부터 심판까지 모두 자원봉사자들로 이뤄진다.
AYSO는 50여 년 전, LA 토랜스 지역에서 축구를 하고 싶어하는 학생들을 모아 9개 팀으로 리그를 시
작했다. 이제는 미국 전역에서 회원만 63만명, 각 지역마다 리그에 참여하는 팀은 5만 개가 넘을 정
도로 규모가 커졌다. 미국에서 초등학교를 다닌다면 한 번쯤은 거쳐갈 법 할 정도다. 미국의 축구 영
웅으로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맹활약해 우리에게도 익숙한 랜던 도노번 선수도 AYSO에서 축구
의 기본기를 닦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즌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는데 한 시즌은 게임만 하고, 그 다음 시즌에는 기술을 배우는
식으로 시즌이 되풀이 된다. 이곳에서 아이들은 단순히 뛰어 노는 것이 아니라 제법 체계적이고 진
지하게 경기에 임하는 법을 배운다. 경기 중에 누군가 조금이라도 부상을 당하면 그 자리에서 무릎
을 꿇고 괜찮아지기를 기다리는 배려도 익힌다. 축구를 전혀 못한다면? 상관없다. 대부분의 팀에서
아이들에게 고루 공격과 수비의 기회가 주어진다. 실력이 조금 처지는 아이들에게는 코치들이 좀 더
관심을 기울여 게임에 융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국에 있을 때 유치원에 가기도 전부터 유명 축구교실을 시작했지만 도통 축구에 관심을 보이지 않
았던 우리 큰 애는 AYSO 한 시즌이 끝난 뒤 축구에 대한 열정이 눈에 띄게 커졌다. 주말마다 경기에
참여하다 보니 다소 번거롭기는 하지만 한 시즌이 끝날 때마다 조금씩 변화하는 내 아이의 모습을
볼 수 있으니 그 정도 수고야 감당해야 하지 않겠는가.


“오바마 대통령, 진정 그리 생각하십니까?”


오바마 대통령은 몇 해 전 한국의 교육을 배워야 한다고 해서 세간의 이목을 끌었다. 오바마는 그 후
심심치 않게 한국의 교육열을 높이 평가하기를 되풀이 했다. 당시에는 내심 미국인들의 무식함을 비
웃기도 했다. 천조국이 우리를 부러워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으쓱해진 적도 있었던 것 같다. 와서 보니,
아니었다. 오바마는 틀렸다. 결론적으로 미국은 한국의 교육을 배울 필요가 없다. 평균적으로는 한국
의 학생들이 똑똑할 지 모르나 최종적인 능력치는 미국 학생들이 한국 학생들보다 높을 가능성이 크다.


교육은 단순히 지식 습득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미국 학생들의 강인한 체력은 대학 이후의 밀도
있는 학습의 밑바탕이 된다. 며칠씩 밤을 새도 끄덕 없는 미국인들의 힘은 단순히 인종적인 DNA의 문
제가 아니다. 이들이 체력을 길러 가는 과정은 그대로 전인교육이니 이 또한 버릴 일이 아니다. 되려
우리가 배워야 할 부분이 많다. 예의 그 교육열 덕에 우리 나라 학생들의 학습 능력은 세계 최고 수준
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마다 미국으로 유학을 가는 학생들의 수는 줄지 않고 있다. 그 똑똑한 머
리로 미국에서 공부를 한다면? 한국에서보다 나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는 믿음이 있기 때문일 것이
다.


자, 이쯤 되면 우리가 취해야 할 점이 보이지 않는가. 고 박정희 대통령의 말 중에 드물게 동의하는
표현이 있다. “체력은 국력이다”. 오바마의 말에 현혹되지 말지어다. ##